Park Seo bo

박서보 (朴栖甫)

1931 한국 경상북도 예천 출생
1954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졸업
2000 명예미술학 박사, 홍익대학교, 서울
1994 재단법인 서보미술문화재단 설립.
1986-9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장.
1977-80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부회장.
1970-77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1962-9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교수(97년 정년퇴임, 이후 명예교수).
개인전
2014 SH Contemporary 2014, 더컬럼스갤러리(Booth No. E 21), Shanghai Exhibition Center, 상하이
G-SEOUL 14, 국제아트페어 14, 조현화랑 (Booth No. A16), 동대문 디자인 파크, 서울
2012 갤러리 신라, 대구
대구미술관, 대구
코리안 아트 쇼, 샘터화랑, 소호 뉴욕
AHAF (아시아 톱 갤러리 호텔 아트페어)금산갤러리, 만다린 오리엔탈, 홍콩
2012 ART TORONTO, 샘터화랑, 토론토, 캐나다
2010-2011 회고전(박서보,한국아방가르드의 선구자 :화업60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조현화랑, 부산
국제화랑, 서울
2010 ART TAIPEI 2010, 샘터화랑(BOOTH NO. A43), 타이페이
2009 KIAF 2009 (한국 국제 아트 페어), 샘터화랑(Booth No.C-26), 코엑스, 서울
2008 샘터화랑, 상하이.
“Empty the mind”, ARARIO NEW YORK, 뉴욕.
KIAF 2008 (한국 국제 아트 페어), 샘터화랑, 코엑스/ 인도양 홀, 서울
CIGE 2008 (중국 국제 화랑 박람회), 샘터화랑, 국영전람대청, 베이징
2007 ARARIO BEIJING, 베이징.
박서보의 오늘, 색을 쓰다, 경기도 미술관, 안산
KIAF 2007 (한국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CIGE 2007 (2007중국국제화랑박람회), 샘터화랑, 국역전람대청, 베이징
2006-2007 Cabinet des Dessins, 메트로폴 생떼띠엔느 근대미술관, 생떼띠엔느
2006 SIPA 2006, 한국판화진흥회,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KIAF 2006 (제5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 코엑스/ 인도양 홀, 서울
조현화랑, 부산.
2006 중국 국제화랑박람회, 샘터화랑, 중국국제무역중심전청, 베이징.
2005 상하이 예술 박람회 2005, 샘터화랑(Booth No.B35), 상하이 세계무역홀, 상하이.
샘터화랑, 서울.
2005 중국 국제화랑박람회, 샘터화랑, 국무전람대청, 베이징.
2004 갤러리 크세쥬, 서울.
2004 화랑미술제, 샘터화랑, 예술의 전당, 서울.
제10회 MANIF 서울 2004, 예술의 전당, 서울.
2004 중국국제화랑박람회, 샘터화랑, 베이징중국과학기술박람회장, 베이징.
2003 제9회 MANIF 서울 2003, 예술의 전당, 서울.
2002 시공갤러리, 대구.
ACE 갤러리 로스엔젤레스, LA.
조현화랑, 부산
Melborne 아트페어, 샘터화랑, 호주 멜버른
갤러리 세줄, 서울.
갤러리 현대, 서울.
박여숙 화랑, 서울
Remba 갤러리, LA.
2000 도쿄화랑, 도쿄.
MANIF 6! 2000, 서울국제아트페어「한국미술 대표작가」전, 예술의 전당, 서울.
1999 갤러리 신라, 대구.
시공갤러리, 대구.
조현화랑, 부산.
1998 도쿄화랑, 도쿄.
1997 ACE 갤러리 로스앤젤레스, LA.
박여숙 화랑, 서울.
갤러리 현대, 서울.
시공갤러리, 대구.
Remba 갤러리, LA.
1996 FIAC '96, 조현화랑, 파리.
Basel Art Fair, 박여숙화랑, Musée 바젤, 바젤.
조현화랑, 부산.
시공갤러리, 대구.
1994 박영덕화랑, 서울.
Remba 갤러리, LA.
도쿄화랑, 도쿄.
1993 제8회 LA ART FAIR, 갤러리 월드, LA.
NICAF YOKOHAMA’93(국제현대미술페어), 선화랑, 일본 요꼬하마.
1991 회고전-朴栖甫 회화40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두손갤러리, 서울.
갤러리 월드, 부산.
갤러리 공간, 부산.
1989 제4회 LA ART FAIR, 진화랑, LA.
1988 현대화랑, 서울.
1987 인공갤러리, 대구.
1986 도쿄화랑, 도쿄(후기 묘법 시리즈 발표).
1985 INA갤러리, 도쿄.
1983 공간미술관, 서울.
1981 현대화랑, 서울.
1978 도쿄화랑, 도쿄.
1976 통인화랑, 서울.
1973 무라마쓰화랑, 도쿄(묘법 시리즈 발표).
명동화랑, 서울.
1970 서울화랑, 서울(유전질 시리즈 발표).
1962 국립중앙도서관화랑, 서울(원형질 시리즈 발표).
단체전.국제전
2014 아트바젤’14, 국제화랑, 멧세바젤, 스위스
현대 단색화를 극복하다: 한국 모노크롬 운동, 알렉산더 그레이 화랑, 뉴욕
TEFAF, 국제화랑, Maastricht, 벨기에
종이에 실린 현대작가의 예술혼, 갤러리 현대, 서울
“모든 면으로 부터 : 추상하는 단색화” Blum an Poe 화랑, LA
2013 2013 ART TORONTO, 샘터화랑, 캐나다 토론토
2013 FIAC, 국제화랑, 국립 그랑팔래 미술관, 파리
FRIEZE MASTERS, 국제화랑, 리젠트 공원 내, 글로스터그린, 런던
제 12회 KIAF’13, 표화랑, 샘터화랑, 조현화랑, 유엠갤러리, 코엑스, 서울
G-SEOUL’13, 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 그랜트 힐튼 서울, 서울
아트바젤’13, 국제화랑, 바젤 스위스
white & white -한국과 이탈리아 사이의 대화-, 깔로 빌로띠 미술관, 로마
한국현대미술60.70년대, 갤러리 현대, 서울
TEFAF2013, Maastricht, 국제화랑, Maastricht, 네덜란드
ARMORY쇼 뉴욕, 국제화랑, 뉴욕
2012 한국의 단색화, 전북도립 미술관, 전라북도 완주
아트바젤’12, 국제화랑, 바젤
11회 KIAF’12, 표화랑, 샘터화랑, 조현화랑, 송아트 갤러리, 코엑스, 서울
한국의 단색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AMORY 쇼, 뉴욕, 국제화랑, 뉴욕
TEFAF Maastricht, 국제화랑, 네덜란드
2011-2012 <단색조의 회화.1> 공간퍼플, 헤이리, 파주
2011 가을 명작 산책-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전,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제 10회 아트바젤 마이애미비치, 국제화랑, 마이애미비치 콘벤션 센터, 플로리다
제 38회 FIAC, 국제화랑, 그랑 팔레, 파리
KIAF 11 (한국 국제아트페어) VIP실, 샘터화랑, 조현화랑
청- Beyond the Blue, 갤러리 현대, 서울
ART BASEL, 국제화랑, 바젤 스위스
대구 미술관 개관 기념전「기(氣)가 차다」-의(意)를 그리다-, 대구미술관, 대구
ART HK’11<홍콩국제 아트페어>, 국제화랑, 홍콩
TEFAF MAASTRICHT, 국제화랑, 네덜란드
코리안 랩소디-역사와 기억의 몽타주- , 삼성미술관LEEUM, 서울
ARMORY쇼, 국제화랑, 서울
2010-2011 정신으로서의 선, 그 힘, 대전시립 이응노 미술관, 대전
2010 FIAC 2010, 국제화랑, 그랑빨레, 루부르, 파리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2010년 하반기 특별 기획전 (OFF THE WALL:건축도자, 경계에서) 전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김해
성북구립미술관 개관기념 “THE PRESENCE”전, 성북구립미술관, 서울
ART HK’10(홍콩국제예술전), 금산갤러리(BOOTH NO.4), 홍콩
운단-아시아 현대예술대전, SOKA ART CENTER, 베이징
2010 한국현대미술의 중심에서, 갤러리현대(강남), 서울
2009 신호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MIXOGRAFIA-혁신과 합작-,the Vivian and Fordon Gilkey Center For Graphic Arts, Portland Museum, 오르곤.
The Color of Nature- 한국의 단색 회화- Wellside 갤러리, 상하이.
김창열, 박서보, 이우환 3인전 조현화랑, 부산.
2008-2009 초월적 미의 탐색 <2008 싱가폴 코리아 페스티발 한국 현대 미술전>, 싱가포르 미술관, 싱가포르
2008 SIPA 2008, 샘터화랑,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부산 비엔날레, ‘미술은 살아있다’ - 아시아 현대 미술의 리더들-, 부산시청 전시실, 부산
한국 추상 회화 1958-2008,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7 도시의 교차로-뉴욕,파리,서울-, 벨그라드 미술관, 벨그라드
움직이는 시(詩), 갤러리 바이엘러, 바젤.
한국 현대미술의 계보, 이안 갤러리, 대구
융통성 있는 금기, 쿤스트할레 빈, 비엔나.
2006 박서보 이강소 전- 자연과 함께 (테이트 갤러리 리버플)-이후 14년, 샘터화랑, 서울.
아트 싱가폴2006, 이화익 갤러리, 선텍 싱가폴 레벨6홀, 싱가폴
정착된 상, 갤러리 SP, 서울.
Melbourne Art Fair 2006, 갤러리 샘터, 멜보른.
ART’06 CHICAGO at Navy Pier, UM갤러리, 시카고.
제 30회 ART FAIR BOLOGNA, 갤러리 마인츠 도로테아, 볼로냐 엑스히비션 센터, 이탈리아 볼로냐.
2005 전통과 시대정신 - 한국의 현대미술 -, 갤러리 헬호프, 갤러리 하나, 독일 크론베르크.
2005 상하이 예술박람회 (한국당대예술특전)-박서보, 정창섭, 윤형근-, 상하이 세계무역홀, 상하이.
Art Cologne New, 갤러리 마인츠 도로테아, 쾰른.
한국 모노크롬 회화 - 박서보, 이우환, 김기린, 윤형근-, 갤러리 마인츠 도로테아, 마인츠 독일.
예술& Issue -중한예술교류전-, Soka 당대공간, 베이징.
2005 화랑미술제, 샘터화랑, 진화랑, 갤러리 세줄,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현대미술,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박서보. 김창렬 2인전, 갤러리 현대 두가헌, 서울.
공간화랑개관 30주년 기념전 -from Modern to Contemporary-, 부산공간화랑, 부산.
제4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개관35주년 기념-Modern & Contemporary Masters-PartⅡ, 갤러리현대, 서울.
ART' TAIPEI 2005, Soka 아트센터, 타이페이 세계무역중심전람3관, 타이페이.
UM갤러리 이전개관기념전: ON Line+OFF Line, UM갤러리, 서울.
2004 세계평화미술대전, 리우하이수미술관, 샹하이.
샹하이국제아트페어 2004, 진화랑, 샹하이세계무역홀, 샹하이.
MELBOURNE아트페어2004, 샘터화랑, 멜보른.
ART’04 CHICAGO at Navy Pier, 박여숙화랑, 시카고.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서울.
제3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코리아 아트갤러리,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중국국제화랑박람회특별전: 한국현대미술거장전, 베이징중국과학기술박람회장, 베이징.
중국국제화랑박람회, UM갤러리, 베이징중국과학기술박람회장, 베이징.
박여숙화랑개관20주년 기념전〈함께한 20년〉, 박여숙화랑, 서울.
2003 전통과 혁신-한국현대미술의 세계화, 갤러리현대, 서울.
2003 화랑미술제, 샘터화랑, 예술의 전당, 서울.
ART COLOGNE 2003, 박여숙갤러리, 쾰른.
샹하이 국제아트페어, 조현화랑, 샹하이 세계무역홀, 샹하이.
제6회 Triennale Mondiale D’Estampes Petit Format 2002, Chamalieres 프랑스.
FIAC 2003, 시공화랑, 파리.
제2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 조현화랑,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ART’03 CHICAGO at Navy Pier, 박여숙화랑, 시카고.
ART’03(Daegu Art Expo 2003), 조현화랑, 갤러리신라, Expo, 대구.
전통과 혁신(3), 베를린시립동아시아미술관, 베를린.
백색스펙트럼-조선백자와 한국현대미술, 조선관요박물관, 광주.
2002~3 추상미술의 이해,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의 전개 197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사유와 감성의 시대」, 국립 현대미술관, 서울.
2002 제1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조현화랑, 갤러리 칸지, 부산콘벤숀센터, 부산.
진화랑 개관 30주년 기념「한일현대미술 2002」전, 진화랑, 진아트센터, 서울.
ART COLOGNE 2002, 박여숙 화랑, 쾰른.
ART 2002 CHICAGO at Navy pier, 박여숙 화랑, 시카고.
Basel Art Fair, 갤러리 현대, 바젤.
샌프란시스코 아트 페어, 박여숙 화랑, 샌프란시스코.
미완의 세기,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요미우리 신문 공동주최, 도쿄.
작가를 찾아서 - 한국미술의 마에스트로, 금호미술관,
월간미술 공동기획, 서울.
ART PALMBEACH, 박여숙 화랑, 팜비치.
POST ART FAIR, 박여숙 화랑, 서울.
2001 ART COLOGNE 2001, 박여숙 화랑, 쾰른.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 1970-90, 갤러리 현대, 서울.
묘오의 그림자, 갤러리 사간, 서울.
제8회 국제 Works on Paper 페어 2001, 샘터화랑, 시드니.
Super PHAT, Cypress대학미술관, Cypress CA.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 : 전환과 역동의 시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ART 2001 CHICAGO At Navy Pier, 박여숙 화랑, 시카고.
ART MIAMI 2001, 박여숙 화랑, 마이애미.
ART PALMBEACH 2001, 박여숙 화랑, 팜비치.
2000 ART COLOGNE 2000, 박여숙 화랑, 쾰른.
2000년 현대미술 12인전, 선화랑, 서울.
샌프란시스코 아트페어, 박여숙 화랑, 샌프란시스코.
한국과 서구의 전후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 삼성미술관, 서울.
MELBOURNE 아트 페어 2000, 진화랑, 멜보른.
구상.비구상 전, 가나 아트센터, 서울.
스스로 자 그러할 연 자연 What is so of itself, Posco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의 시원」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人+間」 광주 비엔날레 2000 : 특별전「한일 현대미술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1999-75 에꼴.드.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관훈미술관, 서울.
1999 한국미술 50년 : 1950-1999, 갤러리 현대, 서울.
NICAF TOKYO ‘99, 진화랑, 박영덕화랑, 도쿄.
침묵의 화가들, 아시아 미술관, 니스.
1999-98 한 . 일 현대미술전 - 우리와 타자사이,
메구로구 미술관, 도쿄 . 국립국제미술관, 오오사카 . 미술회관, 서울.
한국단색회화의 이념과 정신-박서보, 정상화, 이우환, 허황,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1998 침묵의 화가 - 8인의 현대작가- 몽벨이야르 미술관, 몽벨이야르 프랑스.
1997 FIAC ‘97, 갤러리 드니스 르네, 파리.
도쿄 국제 포럼.아트 콜렉션 「다양성의 배」전, 도쿄 국제포럼, 도쿄.
1996 SIAF ‘96(서울국제미술제), 갤러리 현대, 진화랑, 선화랑,
한국종합무역회관 종합전시관, 서울.
한국현대작가 - 丁昌燮, 金昌烈, 朴栖甫-, 도판 작품전, 도쿄화랑, 도쿄.
‘96중앙비엔날레(중앙일보사 주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갤러리, 서울.
BLACK & WHITE, 갤러리 서미, 서울.
1970년대 한국의 모노크롬전, 갤러리 현대, 서울.
1995 국내외 작가 52인전, 갤러리현대, 서울.
ART 1995 CHICAGO At Navy Pier, 갤러리 현대, 시카고.
1994 「현대미술 40년의 얼굴」 호암갤러리, 서울.
NICAF YOKOHAMA(국제현대미술 페어), 도쿄화랑, 진화랑, 일본 요꼬하마.
1993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전, 한림갤러리, 대전.
한국현대미술의 4인, 시공갤러리, 대구.
‘93 대전 EXPO 예술행사 <미래저편에> (퐁튀스 홀텐 선발), 대전.
한국 현대미술의 12인, 미야기껭 미술관, 일본 센다이.
1992 자연과 함께- 한국 현대미술 속에 깃든 전통정신, 테이트 갤러리, 영국 리버풀.
선묘와 표현 1992 현대 한국회화, 호암갤러리, 서울.
한국현대미술전 (시모노세키 시립미술관, 니이가다시 미술관, 가사마니찌도 미술관, 미에껭 미술관), 일본.
1991 한국현대미술 25인전, 현대화랑, 서울.
제2회 TOKYO ART EXPO 1991, 두손갤러리, 도쿄.
개관기념 한국현대미술초대전, 선재현대미술관, 경주.
수장작품전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 도쿄도미술관, 도쿄.
현대한국회화전, 유고슬라비아.
선과 표현, 사이다마껭 근대미술관, 일본.
한국현대회화전, 자그리브 국립미술관, 유고슬라비아.
1990 1990.가을.MURAMATSU전, 무라마쓰화랑, 도쿄.
80년대 미술100의 FORMS, INAX갤러리+나까하라 유스께, 도쿄.
1989 프랑스혁명 200주년 기념 24인 초대전, 파리 아트센터, 파리.
廣島.히로시마.HIROSHIMA, 히로시마시 현대미술관, 일본.
1988 제43회 베니스 비엔날레, 이탈리아 베니스.
현대미술과 올림픽-24회 서울올림픽 공식예술판화전, 로이트 신화랑, 서울.
제24회 서울 올림픽아트:국제현대미술제 주최 서울 올림픽 대회조직위원회,
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미술의 모더니즘:1970∼1979전, 무역센터 현대백화점 현대미술관, 서울
. 현대회화 : 70년대의 흐름전, 워커힐 미술관, 서울.
한국의 4인, 도쿄화랑, 도쿄.
1987 아트LA ‘87 (제2회 국제현대미술제), 진화랑, LA.
한국현대미술에 있어서의 「흑과 백」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제3회 도야마 국제현대미술전, 도야마깽립 근대미술관, 일본 도야마.
제2회 LA ART FAIR, 진화랑에서 출품, 로스엔젤레스.
1986 현대의 「백과 흑」전, 사이타마깽립 근대미술관, 일본.
국립현대미술관 개관기념 「한국현대미술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86현대한국미술의 상황전(서울 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주최), 서울.
‘86서울아시아현대미술전(서울 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주최), 서울.
서울 - 파리전(한불문화협회 주최), 서울갤러리, 파리국립조형예술센터, 파리.
1985 휴먼도큐멘트 ‘84/’85, 도쿄화랑, 일본 도쿄.
현대한국인의 종이예술, 센트랄 워싱톤대학교, 미국.
극소화와 극대화전, 후화랑, 전화랑, 서울.
광복 40주년기념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4 한국현대미술전 : 70년대의 조류, 타이페이시 미술관, 타이페이.
60년대의 한국현대미술-앵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 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 8인의 흰색전, 주한 프랑스문화원 주최, 서울.
오늘의 미술-수장작품에서-파트Ⅰ’83콜렉션을 중심으로-, 도쿄 도미술관, 도쿄.
FIAC ‘84, 진화랑, 국립그랑팔레 미술관, 파리.
60년대의 한국현대미술전-파리 비엔날레 출품작을 중심으로-, 두손갤러리, 서울.
1983-82 현대.종이의 조형(한국과 일본)전, 국립현대미술관, 쿄도시 근대미술관,
사이타마깽립 근대미술관, 구마모도껭 전통민예관, 서울, 쿄도, 浦和, 구마모도.
1983 한국현대미술전:70년대 후반
하나의 양상, 도쿄도미술관, 도지끼껭 근대미술관,
국립국제미술관, 호카이도립 근대미술관, 후쿠오카 미술관, 일본.
新漢城畵派대전(紙與造形專題), 春之藝廊, 타이페이.
1981 한국현대드로잉전, 브룩크린 미술관, 뉴욕.
1980 아시아 미술전 제2부 아시아현대미술전, 후쿠오카시 미술관, 일본 후쿠오카.
1979 한국현대미술 4인의 방법, 현대화랑, 서울.
한국현대미술.오늘의 방법, 한국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78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제2회 파리 국제현대미술의 만남, 국립그랑팔레미술관, 파리.
1977, 69 제1, 8회 까뉴 국제회화제, 프랑스 까뉴.
1977 한국현대미술 6인전, 무라마쓰화랑, 일본 도쿄.
한국.현대미술의 단면, 도쿄 센트랄 미술관, 일본 도쿄.
한국현대화전, 국립역사박물관, 타이페이.
한국.현대미술 수선 6인전, 갤러리보자아르, 일본 나고야.
1975 한국.5인의 작가 다섯가지 흰색, 도쿄화랑, 도쿄.
1975, 65 제8, 13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브라질.
1973 한국현대미술 1957∼1972 추상=상황전, 명동화랑, 서울
. 한국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2-71 한국현대회화전, 파리, 서독.
1972-69 한국현대회화전, 인도, 아프카니스탄, 네팔.
1970 EXPO ‘70 한국관 특별전시, 일본 오오사카.
1969-58 한국현대작가초대 공모전(조선일보사 주최), 덕수궁미술관, 서울.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도쿄국립근대미술관, 도쿄.
1967 EXPO ‘67 한국관 특별전시, 캐나다 몬트리올.
1966 극동 6개국 현대미술초대전, 메이시백화점, 뉴욕.
1965-62 제1회∼4회 문화자유초대전(세계문화자유회의 한국본부 주최), 서울.
1964-62 악뚜엘전, 서울.
1963 제3회 파리 비엔날레, 파리.
한국청년화가 4인전, 랑 베에르 화랑, 파리.
1962 제1회 사이공 국제비엔날레, 베트남 싸이공.
1961 세계 청년화가 파리대회 합동전(유네스코 국제조형미술 연맹 프랑스국위원회 주최), 프랑스 파리, 꽁삐에뉴.
1960-57 현대전, 현대미술가협회 주최, 서울.
1957 한국현대회화전, 월드하우스갤러리, 뉴욕.
주요미술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워커힐아트센터, 서울.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Leeum 삼성미술관, 서울.
후쿠오카시미술관, 일본 후쿠오카.
도쿄도현대미술관,일본 도쿄.
오오하라미술관, 일본 구라시끼.
도야마껭근대미술관, 일본 도야마.
히로시마시현대미술관, 일본 히로시마.
선재현대미술관, 경주.
서귀포시립 기당미술관, 제주도.
신천지 조각공원 미술관, 제주도.
시모노세키 시립미술관, 일본 시모노세키.
광주직할시립미술관, 광주.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서울.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POSCO미술관, 서울.
미에껭미술관, 일본 미에껭.
한림미술관, 대전.
토탈미술관,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FNAC (Found National d’Art Contemporain), 프랑스.
대구미술관, 대구
주요 수상
2011 은관문화훈장, 문화의달, 강릉
2008 2008 대한민국 미술인상, 2008 대한민국 미술인의 날, 주관한국미술협회 세종문화회관 세종홀, 서울
2004 제9회 MANIF 대상, MANIF 조직위원회, 예술의 전당, 서울
1999 제1회 「자랑스러운 미술인」상(창작부문), 한국미술협회, 서울.
1995 제44회 서울특별시 문화상(미술부문), 서울특별시 주최, 서울.
1994 문화훈장(옥관).
1987 제1회 예총 예술문화 대상(미술부문),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주최, 서울.
1984 국민훈장(석류장).
1979 제11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미술부문: 대통령상), 문화공보부 주최, 서울.
1976 제2회 중앙문화대상(예술부문), 중앙일보사 주최, 서울.
1972 대통령표창, 서울.
1961 세계청년화가의 파리대회(유네스코 국제조형미술연맹 프랑스국위원회 주최), 제1위, 파리.